함께하는 사람들

옥용식(Yong Sik Ok)회장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

  • 現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 (환경생태학·공학·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
  • 現 국제 ESG 협회 (International ESG Association) 회장
  • 現 ISTEB (International Society of Trace Element Biogeochemistry) 회장
  • 現 서울국제포럼 정회원
  • 現 MIT-하버드대 공동주관 국제자문위원 (ISAC)
  • 現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명예교수 / 독일 부퍼탈대학교 겸임교수
  • 現 환태평양대학협회 (APRU) 프로그램 총괄책임자
  • 現 국제저명학술지 CREST 총괄편집위원장 (Impact Factor 13.37)
  • 現 한국공학교육학회 ESG 연구회 회장
  • 現 한국환경생물학회 부회장 / ESG 산학연위원회 위원장

프로필

옥용식 교수는 미국 학술정보서비스 ‘리서치닷컴’이 발표한 전 세계 환경과학자 평가 결과 국내 1위와 함께 아시아 전체 1위에 올랐다. 옥 교수의 연구는 하버드대학교, 스탠퍼드대학교, 케임브리지대학교,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ETH Zurich), 토론토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 코넬대학교 등 QS 2024 세계 100대 대학 중 43개 대학이 인용하고 있다. 옥 교수는 대한민국 학자 중 가장 많은 고인용논문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과 UN SDGs를 기반으로 의학, 생물학, 공학, 수학, 컴퓨터 및 경영학(ESG, 환경사회지배구조)까지 다학제적 연구성과를 창출하며,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ESG 분야를 개척해왔다. 특히, 2019년 환경생태 분야 한국인 최초 세계 상위 1% 연구자(HCR, Highly Cited Researcher)에 선정된 이후, 2022년에는 전 세계 최초로 환경생태, 공학 및 생물학/생화학 3대 분야에서 HCR로 선정되었다. 과기부가 발간한 주요국 피인용 상위 1% 논문실적 비교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옥 교수는 물리학 김기남 한국공학한림원 회장 겸 삼성전자 SAIT(삼성종합기술원) 회장, 컴퓨터과학 카이스트 최완 교수와 함께 환경 및 생태학 분야 대한민국 최다 피인용 논문 게재자로 선정됐다. 옥 교수는 기업의 CEO/CFO를 대상으로 하는 신한커넥트포럼, 포스코포럼, 삼성전자 DS(반도체) 부문 ESG 렉처 시리즈 등의 연사로 활동하며, 기업의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 이슈에 대한 대응과 ESG 경영 자문 및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이재혁 고려대 경영대학 교수(고려대 ESG 연구원장)와 산자부 산하 비영리 사단법인 국제ESG협회 회장을 역임하며, UN SDGs, ESG 등 지속가능성 연구를 선도하고, 기후변화와 넷제로, 생물다양성과 네이처 포지티브, 배터리 및 플라스틱 폐기물 등 ESG의 환경(E)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또한, 국내 200대 기업의 ESG 평가 기준 및 방법을 확립하고 고려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에 관련 MBA, E-MBA 강좌인 ‘비즈니스와 환경’을 개설하여 ESG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이외에도 옥 교수는 올해 코발트, 니켈, 망간 등 분쟁/핵심광물을 포함한 미량원소 관련 세계적 권위 국제 학회인 ISTEB(International Society of Trace Element Biogeochemistry)의 학회장으로 선출되어 2년의 임기를 수행하고 있으며, 2025년 9월 대한민국에 세계 대회를 유치하였다. 더불어 스탠포드대학교 지속가능대학 윌리엄 미치(William Mitch) 교수와 환태평양대학협회 프로그램 의장으로 활동하며, 전세계 48개국 400개 이상의 기업, 대학, 정부기관 등과 국제 공동연구를 진행하였고, 전세계 300여 명의 석학들과 함께 바이오차(Biochar) 기반의 기후변화 저감기술 및 플라스틱 오염 등 인류 난제 해결을 위한 대규모 실증 연구와 ESG 평가 연구를 주도해 오고 있다.

이재혁(Jay Hyuk Rhee)회장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現 국제 ESG 협회 (International ESG Association) 회장
  • 現 사학연금 ESG 경영위원회 위원장
  • 現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자문위원
  • 現 고려대학교 ESG 위원회 위원
  • 現 고려대학교 ESG 연구원 원장
  • 現 고려대학교 사회적경제연구소장
  • 現 고려대학교 중남미연구소 운영위원
  • 現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 前 미국 산호세 주립 대학 교수

프로필

이재혁 교수는 2001년 9월부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학사 및 석사학위, 미국 Ohio State University 경영학 박사학위(Ph.D.)를 취득했으며, San Jose State University 교수로 재직했다. 

고려대학교에서 지속가능성 위원회 연구/교육 소위원회 위원, ESG연구원 원장, 고대의료원 ESG 및 다양성위원회 위원, 사회적 기업센터 소장, 중남미 연구소 위원을 맡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국민연금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 책임투자분과 위원,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기업지배구조위원회 위원, 한국전략경영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국제ESG협회 회장, 사학연금공단 ESG경영위원회 위원장,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사회공헌센터 운영위원회 위원장, 국립산림과학원 ESG위원,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자문위원,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심의조정위원, 산림청 탄소흡수원증진위원회 위원, 한국남부발전 ESG경영위원회 위원, 강원랜드 ESG추진위원회 위원, LG ESG 전문가 자문단 좌장, 삼성서울병원 ESG위원회 위원, 코트라 글로벌 CSR사업 심의 위원, 지속경제사회개발원 운영위원, 산업정책연구 워킹 그룹 지속가능성분과장,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속가능성 평가 (ESG),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지속가능발전목표 (SDG), 경영전략 및 글로벌전략을 포함한 여러 관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및 저술 활동,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국제경영학 분야 최고권위의 국제학술지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JIBS)를 포함한 다수의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였다. 국내학술지 ‘전략경영연구’에 게재한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현황 및 발전방향: ESG 평가지표를 중심으로”는 경영학 분야 학술논문 중 Top 0.1%에 선정되었으며, ‘전략경영연구’에 게재된 논문 중 최근 1년/3년/5년 모두 조회수 1위를 기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시대의 ESG 경영”, “사회적 가치와 지속가능경영: ESG 현황 및 글로벌 전략”, “CSR을 넘어 SDG로, 기업 지속가능성을 높여라“, “The Role of Corporate Sustainability in Asia Development: A Case Study Handbook,” “Green Leadership in China: Management Strategies from China’s Most Responsible Companies,” “현대기아차 중국 마케팅 사례,” “경영교육 환경의 현황과 시사점"등이 있다. 한국의 글로벌 대기업 임원을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및 ESG 경영과 관련된 강의와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 내 다국적 기업과 중국기업들을 대상으로 CSR Ranking을 조사 분석하여 그 결과를 경제지에 발표하였다.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경영 실태 조사를 위한 K-ESG 개발에 참여하였고 관련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황성연등기이사

경희대학교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 現 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 이사
  • 前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센터 센터장
  • 前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부교수
  • 前 SKC첨단기술중앙연구소 선임연구원

프로필

황성연 교수는 국가 난제 중 하나인 플라스틱 지속가능성 연구분야에 최근 가장 우수한 연구결과를 보여주는 연구자로서, 바이오플라스틱 분야의 연구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하여 환경부를 비롯한 다부처 연구과제 프로젝트의 기획위원을 수행했고,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의 육성을 목적으로하는 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KBPA) 이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개발한 생분해성바이오플라스틱은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업무보고 때 대통령께 소개하여 국민체감 문제해결의 혁신성장 성과로 인정되었으며, 2020년 과기장관회의 우수성과 전시 및 2020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의 에너지·환경분야에 선정되며 관련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수상경력으로는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표창을 비롯하여 2020년 한국화학연구원 대상,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 201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표창 등이 있다. 또한, 생분해성바이오플라스틱 제조기술로는 처음으로 국내연구개발을 통하여 대기업에 기술이전하였으며 곧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바이오플라스틱 분야의 관심있는 국내 화학분야 대기업 및 중소기업들의 자문 및 강의를 하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센터 센터장을 역임했고, 현재 경희대학교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찬우등기이사

외교부

  • 前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 前 외교부 주브라질 대사
  • 前 외교부 북극협력대표
  • 前 외교부 주케냐 대사
  • 前 외교부 환경협력 과장
  • 前 UNEP 주관 생물다양성 국제기구 설립 추진회 의장
  • 前 람사르 협약 당사국 회의 교체의장

프로필

김찬우 명예교수는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기후변화대사, 북극협력대표, 주브라질대사, 주케냐대사를 역임하였다. 다자환경외교에 오랜 기간 참여했으며, 특히 기후변화체제, 나고야의정서, Rio+10회의, 동북아 환경협력 분야에서 적극 활동했다. 람사르협약 상임위원장과 케냐 나이로비 소재 UNEP와 UN-Habitat의 상주대표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재임 중 근정포장을 받았으며, 브라질 정부로부터 제툴리우 바르가스 노동훈장, 남십자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 <21세기 환경외교> <포스트 2012 기후변화 협상> <한국의 환경외교>가 있다.

박원석등기이사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現 나고야의정서 의무준수위원회 위원
  • 現 UNESCO 인간과 생물권(MAB) 한국위원회 위원
  • 前 생물다양성협약 정부협상 대표

프로필

박원석 교수는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국제환경법과 WTO 국제통상법 등을 강의하고 있다. 특히 2009년 이후 생물다양성협약 관련 정부협상 대표로서 Post-2020 세계생물다양성체계(post-2020 Global Biodiversity), 나고야의정서, CBD 전통지식작업반 등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협상전략 수립과 법정책적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생물유전자원 이용에 관한 나고야의정서 의무준수위원회와 UNESCO 인간과 생물권(MAB) 한국위원회 위원이며, 최근 기업의 생물다양성 관련 ESG 평가지표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