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협회소개

함께하는 사람들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 옥용식 회장

  • 現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 (환경생태학·공학·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
  • 現 국제 ESG 협회 (International ESG Association) 공동회장
  • 現 서울국제포럼 정회원
  • 現 MIT-하버드대 공동주관 국제자문위원 (ISAC)
  • 現 중국 칭화대학교 /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명예교수
  • 現 환태평양대학협회 (APRU) 프로그램 총괄책임자
  • 現 국제저명학술지 CREST 총괄편집위원장 (Impact Factor 13.37)
  • 現 한국공학교육학회 ESG 연구회 회장
  • 現 한국환경생물학회 부회장 / ESG 산학연위원회 위원장
INFORMATION
옥용식 교수는 UN 지속가능개발목표 (SDGs)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미국 테일러앤프란시스 사와 환경사회지배구조 (ESG)를 전문으로 다루는 국제학술지 “Sustainable Environment”을 발간, 초대 편집위원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환경공학 분야 118종 학술지 중 1, 2위 (2019년 CiteScore 기준) 학술지의 총괄편집위원장을 모두 역임한 최초의 학자이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William Mitch 교수와 환태평양대학협회 프로그램 총괄책임자를 역임, 전세계 글로벌 기업, 국제기구 및 연구기관과 ESG 환경기술 및 정책개발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2019년 한국인 최초로 환경생태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Highly Cited Researcher)”에 선정된 후 현재까지 대한민국 학자 중 가장 많은 고인용논문 (HCP)을 보유하고 있다. 2021년에는 환경생태 및 공학 두 개 분야에서 한국인 최초로 HCR에 선정되었다. 특히 2022년, 3개 분야 이상의 HCR 선정자는 전세계에서 크로스 필드를 제외한 3,981명의 HCR 중에서도 단, 0.8%에 해당하는 32명만이 선정되는 영예를 누렸으며, 옥 교수의 이번 수상은 환경생태학을 기반으로 공학부터 생물학 및 생화학을 아우르는 개척 연구를 통한 수상으로 이러한 조합의 3분야 수상은 HCR 역사에서도 최초로 기록된다. 2020년, 2021년, 2022년 고려대학교 석탑연구상 (2020년 생명과학대학 단독 수상) 및 2022년 제1회 석탑국제협력상을 동시 수상하였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20회, 제23회, 제26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으며, 환경부장관 표창 (201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 (2019년),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 (2022년) 등을 수상하였다.
국내대학 최초로 네이처 컨퍼런스 한국에 유치에 성공, 2021년 10월 네이처 3대 저널 편집위원장과 함께 대회장 자격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네이처 컨퍼런스를 성황리에 개최하였고, 2021년 3월부터 MIT, 스탠퍼드대, 뮌헨공대, ETH, 코넬대학교 등 세계 최고 대학의 석학들과 글로벌기업의 ESG 평가를 위한 글로벌렉처시리즈를 출범, 한국공학교육학회 ESG 연구회, 한국환경생물학회 ESG 산학연 위원회 등을 창설, 국내 주요 대학, 기업, 정부기관 등과 ESG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융합 포럼을 기획하였고, 2022년 3월부터 매주 환태평양대학 61개 대학 2백만 이상의 회원을 대상으로 ESG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2022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서 "비즈니스와 환경"을 주제로 MBA 강의를 개설하였고, 고려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ESG 최고경영자과정, UPES 경영대학원 (외래교수) 등에서 환경 분야에 특화된 ESG 강의와 기업 자문을 진행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이재혁 회장

  • 現 국제 ESG 협회 (International ESG Association) 공동회장 (한·영·홍콩)
  • 現 사학연금 ESG 경영위원회 위원장
  • 現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자문위원
  • 現 산업정책연구 워킹그룹 지속가능성분과장
  • 現 고려대학교 ESG 위원회 위원
  • 現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ESG연구센터 센터장
  • 現 고려대학교 사회적경제연구소장
  • 現 고려대학교 중남미연구소 운영위원
  • 現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 前 미국 산호세 주립 대학 교수
INFORMATION
이재혁 교수는 2001년 9월부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학사 및 석사학위,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경영학 박사학위(Ph.D.)를 취득했으며, 산호세 주립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고려대학교에서 ESG위원회 위원 및 ESG 연구센터 센터장, 사회적 기업센터 소장, 지속가능경영 연구그룹장 등을 맡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국민연금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 책임투자분과 위원,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기업지배구조위원회 위원, 한국전략경영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제ESG협회 공동회장, 사학연금공단 ESG 위원회 위원장,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자문위원, 코트라 글로벌 CSR 사업 심의 위원, 지속경제사회개발원 운영위원, 산업정책연구 워킹 그룹 지속가능성분과장,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속가능성 평가 (ESG),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지속가능발전목표 (SDG), 경영전략 및 글로벌전략을 포함한 여러 관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및 저술 활동,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석탑 연구상’을 2020년 수상하였으며, ‘석탑 강의상’은 지금까지 총 7회 수상하였다. 국제경영학 분야 최고권위의 국제학술지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JIBS)를 포함 다수의 저널에 논문을 게재했으며, 한국국제경영학회 최우수 해외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사회적 가치와 지속가능경영: ESG 현황 및 글로벌 전략“, “CSR을 넘어 SDG로, 기업 지속가능성을 높여라“, “The Role of Corporate Sustainability in Asia Development: A Case Study Handbook,” “Green Leadership in China: Management Strategies from China’s Most Responsible Companies,” “현대기아차 중국 마케팅 사례,” “경영교육 환경의 현황과 시사점” 등이 있다.
중국 내 다국적 기업과 중국기업들을 대상으로 CSR Ranking을 조사 분석하여 그 결과를 경제지에 발표하였다. 최근에는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경영 실태 조사를 위한 가이드라인(K-ESG) 개발 및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교수 황성연 이사

등기이사

  • 現 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 이사
  • 前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센터 센터장
  • 前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부교수
  • 前 SKC첨단기술중앙연구소 선임연구원
INFORMATION
황성연 교수는 국가 난제 중 하나인 플라스틱 지속가능성 연구분야에 최근 가장 우수한 연구결과를 보여주는 연구자로서, 바이오플라스틱 분야의 연구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하여 환경부를 비롯한 다부처 연구과제 프로젝트의 기획위원을 수행했고,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의 육성을 목적으로하는 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KBPA) 이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개발한 생분해성바이오플라스틱은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업무보고 때 대통령께 소개하여 국민체감 문제해결의 혁신성장 성과로 인정되었으며, 2020년 과기장관회의 우수성과 전시 및 2020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의 에너지·환경분야에 선정되며 관련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수상경력으로는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표창을 비롯하여 2020년 한국화학연구원 대상,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 201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표창 등이 있다. 또한, 생분해성바이오플라스틱 제조기술로는 처음으로 국내연구개발을 통하여 대기업에 기술이전하였으며 곧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바이오플라스틱 분야의 관심있는 국내 화학분야 대기업 및 중소기업들의 자문 및 강의를 하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센터 센터장을 역임했고, 현재 경희대학교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외교부 명예교수 김찬우 이사

등기이사

  • 前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 前 외교부 주브라질 대사
  • 前 외교부 북극협력대표
  • 前 외교부 주케냐 대사
  • 前 외교부 환경협력 과장
  • 前 UNEP 주관 생물다양성 국제기구 설립 추진회 의장
  • 前 람사르 협약 당사국 회의 교체의장
INFORMATION
김찬우 명예교수는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기후변화대사, 북극협력대표, 주브라질대사, 주케냐대사를 역임하였다. 다자환경외교에 오랜 기간 참여했으며, 특히 기후변화체제, 나고야의정서, Rio+10회의, 동북아 환경협력 분야에서 적극 활동했다. 람사르협약 상임위원장과 케냐 나이로비 소재 UNEP와 UN-Habitat의 상주대표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재임 중 근정포장을 받았으며, 브라질 정부로부터 제툴리우 바르가스 노동훈장, 남십자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 <21세기 환경외교> <포스트 2012 기후변화 협상> <한국의 환경외교>가 있다.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박원석 이사

등기이사

  • 現 나고야의정서 의무준수위원회 위원
  • 現 UNESCO 인간과 생물권(MAB) 한국위원회 위원
  • 前 생물다양성협약 정부협상 대표
INFORMATION
박원석 교수는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국제환경법과 WTO 국제통상법 등을 강의하고 있다. 특히 2009년 이후 생물다양성협약 관련 정부협상 대표로서 Post-2020 세계생물다양성체계(post-2020 Global Biodiversity), 나고야의정서, CBD 전통지식작업반 등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협상전략 수립과 법정책적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생물유전자원 이용에 관한 나고야의정서 의무준수위원회와 UNESCO 인간과 생물권(MAB) 한국위원회 위원이며, 최근 기업의 생물다양성 관련 ESG 평가지표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김재수 이사

  • 現 과학기술기관장협의회 회장
  • 現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과학기술정책전공 교수
  • 現 국회도서관발전자문위원
  • 前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본부장
INFORMATION
김재수 원장은 1991년부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舊산업기술정보원)에서 재직 중이며, 데이터, 소프트웨어(SW) 분야를 연구하며 국가 대형 전산화 과제들을 다수 수행했다. 2008년부터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단장, 센터장, 본부장으로 역임하며 국가 과제 고유번호 체계를 만드는 시스템을 개발해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의 UN공공행정상(정부 지식관리 향상 분야) 수상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UN공공행정상은 UN이 전세계 우수 공공정책과 제도를 선정하여 수여하는 상으로 국제적 최고의 권위를 가진 상이다. 2021년 3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에 취임하여 국가 과학기술 진흥과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대외적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과학기술기관장협의회장,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과학기술정책전공 교수, 한국융합학회 상임고문, 한국콘텐츠학회 고문, 한국기술혁신학회 이사장, 대전시 D-유니콘기업육성위원, 국회도서관발전자문위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과학기술훈장(도약상)을 수상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허성욱 이사

  • 現 한국법경제학회 부회장
  • 現 한국환경법학회/한국공법학회/한국규제법학회 이사
  • 現 대통령실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 現 환경부 과징금심의위원회 위원
  • 現 법제처 국가행정법제위원회 위원
  • 現 대법원 사법서비스진흥기금운용심의위원회 위원
  • 前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부학장/법학전문대학원 부원장
  • 前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조교수 및 부교수
  • 前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 前 인천지방법원 판사
INFORMATION
허성욱 교수는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법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제 39회 사법시험을 합격하고 인천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하여 지적재산권, 환경, 건설사건을 전담, 서울중앙지방법원 지적재산권을 전담했고,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외적으로 현재 한국법경제학회 부회장, 한국환경법학회 이사, 한국공법학회 이사, 한국규제법학회 이사를 역임 중이며, 대통령실 행정심판위원회, 환경부 과징금심의위원회, 법제처 국가행정법제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위공(爲公) 법경제학상.수상을 비롯하여, 세계 3대 인명사전 중 하나인 Marquis Who’s Who에서 각 분야 영향력을 발휘한 세계 저명인사들 중 탁월한 성취를 이룬 인물에게 수여하는 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평생공로상)을 법률분야 한국인 최초로 수상했다.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김수민 이사

  • 現 (사)우디즘목재이용연구소 부회장
  • 現 대한건축학회 편집위원
  • 現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편집위원
  • 現 한국생활환경학회지 편집장
  • 現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이사
  • 現 한국실내환경학회 이사
  • 現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이사
  • 現 환경부 환경연구개발과 회원
  • 現 한국연구재단 평가위원
  • 現 국가기술표준원 기술자문위원
INFORMATION
김수민 교수는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2018년부터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200편 이상의 논문과 건설환경성능, PCM, 에너지절약기술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 중이다. 대외적으로 한국가구학회 편집장, IAQVEC 2016 조직위원회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사)우디즘목재이용연구소 부회장,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편집위원,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이사, 대한건축학회 편집위원, 한국실내환경학회 이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편집장 등 다수 역임 중이다. 이러한 공로를 바탕으로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 수상, ‘2025년 대한민국을 이끌 100대 기술과 주역’에 선정을 비롯한 다수의 수상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7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창립회원으로 선정됐다.

김앤장 ESG경영연구소장 김동수 이사

  • 現 미국 AccountAbility 표준개발이사
  • 現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
  • 現 스위스Council on Economic Policies 사외이사
  • 前 산업통상자원부 지속가능경영지원센터 센터장
  • 前 중소벤처기업부 CSR지원센터 센터장
  • 前 한국생산성본부 ESG 경영연구소 소장
INFORMATION
김동수 소장은 University of Utah에서 경영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학위 및 KAIST 경영대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생산성본부 ESG경영연구소 소장, 중소벤처기업부 CSR지원센터 센터장, 산업통상자원부 지속가능경영지원센터 센터장을 역임하며 ESG 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현재 김앤장 ESG경영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이자 대외적으로 미국 뉴욕의 AccountAbility 표준개발이사이자 스위스 취리히의 Council on Economic Policies의 사외의사 등으로 활동 중이다.

임팩트온 대표 박란희 이사

  • 現 대통령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산업전환 전문위원회 위원
  • 現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 現 한국사회투자 이사
  • 現 한국모금가협회 이사
  • 現 한국사회복지공동모금회 모금분과 실행위원
  • 前 국무총리실 국제개발협력위원회 민간위원
  • 前 조선일보 공익센션 더나은미래 편집장
  • 前 환경재단 기획위원
  • 前 조선일보 기자
INFORMATION
박란희 대표는 2020년 ESG 전문 온라인 미디어 ‘임팩트온(IMAPCTON)’을 창업해 대표 겸 편집장으로 역임 중이다. ESG에 관한 개념 입문서로 알려진 (2021)을 비롯하여 소셜핸드북 <S in ESG>(2022) 등의 집필 참여 및 총괄 감수를 맡았고, 칼럼 <박란희의 TalkTalk>을 통해 글로벌 ESG 트렌드와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에 매주 ESG 트렌드리포트를 제공하고, 국내 유수의 대기업들과 ‘기후테크 분석’, ’E-Commerce 넷제로 전략’, ‘글로벌 탄소중립 사례조사’,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분석’ 등 리서치와 사내교육을 결합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한양대 겸임교수와 대통령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산업전환 전문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으며, 고려대 에너지환경대학원(ESG경영과 커뮤니케이션전략), 한양대(사회혁신과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연세대-MKYU 등에서 강의했다. 한국사회투자 이사, 한국모금가협회 이사, 한국사회복지공동모금회 모금분과 실행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선일보 기자(사회부, 정치부 등)를 거쳐 환경재단 기획위원, 조선일보 공익섹션 더나은미래 편집장을 역임했다.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장 성용준 이사

  • 現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교수
  • 現 한국광고학회 부회장
  • 現 공공기관 경영평가단 평가위원
  • 現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부편집위원
  • 現 Journal of Advertising 편집위원
  • 現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편집위원
  • 前 서던메소디스트대학교 광고학과 부교수
  • 前 텍사스대학교 광고학과 조교수
INFORMATION
성용준 교수는 Iowa State University에서 학사학위, University of Georgia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6-2012)과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2012-2014)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4년 3월부터 고려대학교 심리학부에서 소비자광고심리 전공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소비자 심리, 브랜드 심리, 지속가능성, 인공지능이며, 다양한 연구를 통해 소비자 행동과 그 기저의 심리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실무적, 정책적 방향성 또한 제시함으로써 궁국적으로 지속가능한 소비자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갖고 있다. 국제/국내 학술지에 100여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2017, 2019, 2021년 고려대학교 석탑연구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회장, 한국광고학회 부회장, 광고학연구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Journal of Advertising, Journal of International Advertising,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사)에코맘코리아 대표 하지원 이사

  • 現 EU 기후행동친선대사
  • 現 국무총리실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 위원
  • 現 UN청소년환경총회 공동조직위원장·집행위원장
  • 前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위원
  • 前 대통령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 홍보소통위원
  • 前 총리실 정부평가/국정과제평가 위원
  • 前 국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 前 수원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지속가능경영정책 초대 주임교수
INFORMATION
하지원 대표는 이학 박사 학위 및 지구환경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사람을 통해 세상을 바꾸겠다는 신념, 사람들의 습관을 에코라이프로 만들어야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지킬 수 있다는 믿음으로 2009년 환경NGO 에코맘코리아를 설립했다.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 위원, 국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고, 현재 유럽연합(EU) 기후행동 친선대사, UN청소년환경총회 공동조직위원장이자 집행위원장, 총리실 미세먼지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세상을 바꾸는 즐거운 습관(2017)>, <지속가능한 환경경영학(2018)>, <기후위기 시대, 12가지 쟁점(공저. 2021)> 등이 있다. 에코맘코리아는 UNEP공식파트너이자 UN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 NGO로 UN청소년환경총회를 비롯한 환경교육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파트너기관, 파타고니아의 1% for the planet의 파트너NGO로 활동 중이다. 최근, 기업의 ESG활동을 돕는 ESG생활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 중이다.

국가녹색기술연구소장 이상협 이사

  • 現 서울특별시 은평구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 위원회 위원
  • 現 과기정통부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추진위원회 위원
  • 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에너지·환경기술단 단장
  • 前 KISTEP 탄소 중립 기술 개발 전략 기획위원회 위원
  • 前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자원순환연구단 단장
  • 前 미래창조과학부 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수립위원회
  • 前 환경부 환경융합신기술개발사업연구단 연구단장
  • 前 미래창조과학부 사회문제해결형기술개발사업단 사업단장
  • 前 대한환경공학회 부회장
  • 前 한국환경한림원 정회원
INFORMATION
이상협 소장은 고려대학교 재료공학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도시공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4년부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근무하며 KIST 기후환경연구소 물자원순환연구단장을 거쳐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에너지환경기술단장을 역임했다. 2022년부터 국가녹색기술연구소(NIGT, 舊 녹색기술센터)의 소장으로 취임하여 데이터에 기반한 탄소중립 기술을 선별하고 국제협력과 연계하는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추진위원회 위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150여편의 논문과 120건 이상의 특허를 출원하는 등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회의 환경부 장관 표창 및 환경기술 우수상,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 우수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정책유공자 표창, 환경산업기술원 20주년 우수기술 50선(미량오염물질 초고도 수처리 공정 플랫폼 개발) 등을 수상했다.

대한상하수도학회장 김건하 이사

  • 前 한국환경관리공단 설계자문위원
  • 前 환경부 규제심사위원·중앙환경정책위원·자체평가위원
  • 前 환경부 가축매몰지연구단장
  • 前 국토교통부 중앙건설심의위원회
  • 前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자문위원단
  • 前 환경자원분석인증센터(금강제10호) 센터장
  • 前 대한상하수도학회 부회장
INFORMATION
김건하 회장은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 석사 학위 취득 후 미국 텍사스 A&M 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00편 이상의 논문 발표와 20건 이상의 특허 출원 등 지속적 학술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이러한 공로를 바탕으로 국무총리 표창, 대통령 표창 및 국회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표창,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 학술상 및 국회부의장 표창 등 다수 수상했다. 2022년 대한상하수도학회 제18대 회장으로 취임하여 상하수도업역 확장을 위한 ESG, 탄소중립, 감염병 예방, 재난대응 등 다양한 이슈를 대응하고 정책을 제언하며 상하수도 분야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외협력실장 서정호 이사

  • 前 삼성SDS 환경컨설팅/전자제조컨설팅 수석컨설턴트
  • 前 삼성그룹 배출권 자산관리/시범거래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총괄
  • 前 삼성그룹 ESH 운영 혁신 마스터 플랜 구축 총괄/ESH KPI관리 시스템 운영 총괄
  • 前 기후변화협약 정부대표단 (LULUCF/REDD)
INFORMATION
서정호 실장은 독일 University of Göttingen 산림과학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에서 연구사 재직 중 기후변화협약 정부협상단의 일원으로 다수의 다자협상회의에 참여했다. 또한 산림 기반 온실가스 배출량 상쇄 가이드라인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한국에너지공단과 함께 국내 최초로 탄소중립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또한 산림 기반 온실가스 상쇄 가이드라인의 국민 확산을 위해 탄소나무계산기(일반 및 교육용)를 개발하여 보급했으며, 삼성SDS 환경컨설팅/전자제조컨설팅팀 재직 당시 삼성그룹 온실가스 및 배출권 관리 업무프로세스의 도입과 관리 시스템 개발 및 운영을 총괄했다. 현재는 유럽의 ESG 규제 및 대응 동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확산을 통해 유럽 진출 대한민국 기업들의 ESG 규제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후시파트너스 부대표/최고전략책임자 심건호 이사

  • 現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
  • 現 더블유재단 비상임이사
  • 前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린치 서울지점 기업자금관리부문 기업영업 총괄
  • 前 올리버와이먼 금융분야 전략컨설팅
  • 前 삼성물산 정보통신사업부 신사업 개발 담당
INFORMATION
심건호 부대표는 조지워싱턴대학교 경제학 및 정치학 학사 학위를,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 재무 및 경영학 MBA 학위를 취득했으며, 기업 금융, 경영 컨설팅 및 신규 사업 개발 분야에서 27년 이상의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12년 이상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 린치의 홍콩과 서울 지점에서 유수의 글로벌 기업 고객을 담당했고, 최종적으로는 기업 자금관리 부문의 한국 기업영업 총괄직을 역임했다. 올리버 와이먼에서는 국내 대형 은행 2곳의 합병 후 통합, 정부 부처의 재무 및 위험 관리 전략 수립, 제약 회사의 턴어라운드 프로젝트 등 다수의 컨설팅 프로젝트를 자문했고, 경력 초반에는 삼성물산, KTB(한국종합기술금융), 및 씨티은행에서 신사업개발, 벤처투자 및 기업금융 업무를 수행했다. 보다 최근에는 핀테크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분야의 초기 단계 스타트업인 디에스솔루션즈와 더블유지아이 코리아의 기업 전략 및 비즈니스 개발 업무를 이끌었다. 현재 기후 핀테크 스타트업인 후시파트너스의 부대표 겸 최고 전략 책임자로 재직 중이며, 후시파트너스의 양대 중점 사업인 기업 탄소 배출량 측정 소프트웨어 및 탄소 상쇄 크레딧 사업의 활성화를 책임지고 있다. 후시파트너스의 탄소 배출량 측정 SaaS 시스템인 NetZ의 개발 및 도입확산을 주도하며, 국토교통부가 국내 최초로 승인한 '전기차량 배출가스 프로그램 감축사업’의 시장확장을 추진 중이다. 대외적으로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로 기업 금융을 강의하고 있으며, 사회 환원을 위해 UNFCCC의 공식 파트너인 비영리단체 더블유재단(W Foundation)의 비상임 이사로 봉사하고 있다.

前 세계경제연구원장 송경진 이사

  • 現 외교부 경제외교 자문위원
  • 現 (사)혁신경제 사무총장
  • 現 파이낸셜뉴스 글로벌이슈센터장
  • 現 Perth USAsia Centre Indo-Pacific Fellow
  • 現 서울국제포럼 정회원
  • 前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위원장 특별보좌관
  • 前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위원장 보좌관
  • 前 재정경제부 외신대변인
  • 前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 ICFTU 아시아태평양지역기구 여성국장
INFORMATION
송경진 前 원장은 한국의 민간 비영리 연구기관인 세계경제연구원(IGE) 원장을 역임했고, 이전에는 재정경제부 외신대변인,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위원장 보좌관,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위원장 특별보좌관으로 역임했다. 현재 파이낸셜뉴스 글로벌이슈센터장이며 Perth USAsia Centre Indo-Pacific Fellow로 역임 중이다. 대외적으로 외교부 경제외교 자문위원, (사)혁신경제 사무총장, 서울국제포럼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정부의 공무원훈장인 홍조근정훈장(Red Stripes)을 수상했다.

애경그룹 고문 이석주 이사

  • 前 AK홀딩스 전 대표이사
  • 前 제주항공 대표이사 사장
  • 前 제주항공 커머셜본부장 부사장
  • 前 제주항공 마케팅본부장 전무
  • 前 애경산업 마케팅 화장품부분 전략기획실 총괄
  • 前 제주항공 감사
  • 前 V&S투자자문 대표
  • 前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컨설턴트
INFORMATION
이석주 고문은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학위를 취득 및 미국 시카고대학교 MBA를 졸업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 경영컨설턴트를 비롯하여 Private Equity 투자자로서 다양한 경력을 쌓아 2008년 애경그룹에 입사하여 소비재기업인 애경산업, 저비용항공사 제주항공, 그리고 애경그룹 지주회사인 AK홀딩스에서 다양한 경영활동을 수행했다. 애경산업 재직시 국내최초의 액체형 농축세제 출시, 세제 정량사용 캠페인 주도, 분말세제 브랜드의 저탄소제품 인증 등의 친환경 경영활동과 함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발간을 주도했다. 제주항공 재직시에는 탄소저감 비행 캠페인인 '폴라베어 프로젝트'를 주도했고, 저탄소 배출 신형 기단 도입을 결정하며 친환경 경영활동을 확산시켰다. 아울러 제주항공에서 'Employee First' 경영원칙을 세우고 현장 직원들의 고충사항을 청취 및 개선에 즉시 반영하는 조직풍토개선 활동을 직접 실행에 옮겼으며, AK홀딩스에서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확산을 경영방침으로 제시하고 사외이사의 역할 강화, 내부거래위원회의 설치, 컴플라이언스 활동의 강화 등 지배구조 개선작업을 이끌었다. 제주항공과 AK홀딩스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현재 애경그룹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한국환경생물학회장 조기종 이사

  • 現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
  • 前 국제곤충학회지 편집자
  • 前 농촌진흥청 박사 후 연구원
  • 前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INFORMATION
조기종 회장은 고려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농촌진흥청(RDA)에서 재직했고 1997년부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에서 생태학 및 독성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토양생태독성학, 수생생태독성학, 위험평가, 생물지표, 독성효과모델링을 포함한 생태독성학 및 모델링을 통한 공간생태학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2022년 1월부터 한국환경생물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여러 기초 연구에서부터 다학제간 융합연구, 산학연관이 밀접하게 교류할 수 있는 학문의 장을 만들고 있다.

LG화학 법인 경영전략담당 마케팅전략팀장 이옥희 이사

  • 現 LG화학 법인 경영전략담당 마케팅전략팀 팀장
  • 前 LG화학 CTO. 미래기술연구소 선행상품기획1팀 팀장
  • 前 에스티로더 컴퍼니즈 닥터자르트 브랜드 상품본부 본부장
  • 前 아모레퍼시픽 럭셔리 브랜드 Div. 설화수BM팀
  • 前 아모레퍼시픽 R&D센터 효능연구팀(감성인지효능)
  • 前 아모레퍼시픽 뷰티브랜드/컨슈머인사이트팀
  • 前 ㈜두산 R&D 센터 감성연구팀
INFORMATION
이옥희 팀장은 식품공학과 감성과학 석사 학위 취득 후 ㈜두산 R&D 센터 감성연구팀, 아모레퍼시픽 뷰티트랜드/컨슈머인사이트팀·R&D센터 효능연구팀(감성인지효능연구)·설화수 BM팀에서 경력을 쌓아 에스티로더 컴퍼니즈에서 닥터자르트 브랜드 상품본부 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LG화학 미래기술연구소 선행상품기획 팀장을 거쳐 2023년 현재 LG화학 법인 경영전략담당 마케팅전략팀 팀장으로 재직 중이다.

법무법인 화우 환경규제대응센터장 김도형 이사

  • 現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재무이사
  • 現 서울물재생시설공단 기술자문단 위원
  • 現 한국수자원공사 수법연구포럼 회원
  • 現 ‘경제 규제혁신 T/F’ 환경규제반 자문위원
  • 現 대한환경공학회 이사
  • 現 과기정통부 기술수준평가(환경기상분야) 전문가
  • 前 법무법인(유) 율촌 전문위원
  • 前 국회환경포럼 정책자문위원
  • 前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전문위원
  • 前 국립환경과학원 전문위원
INFORMATION
김도형 센터장은 법무법인(유) 화우 기업자문 그룹의 전문위원(환경규제대응센터장)으로 주요 업무분야는 환경, ESG, EHS이다. 김 전문위원은 환경공학(공학박사)과 환경법(법학박사)을 함께 전공하여 법/제도 및 기술/산업을 아우를 수 있는 환경분야 국내 유일한 전문가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을 시작으로 군환경연구센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 환경 관련 유관기관에서 환경부 등 정부의 정책, R&D사업 등 다양한 업무를 경험했고, 이후 법무법인 율촌에서 환경분야 법률자문, M&A련 환경실사 등 업무를 수행했다. 현재 대외적으로 ‘규제혁신 T/F’ 환경규제반, 서울시 물산업육성자문단, (사)대한환경공학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술수준평가(환경기상분야) 전문가 등으로 활동 중이다.

J.P.Morgan 본부장 Jane Kim 이사

  • 現 J.P.Morgan 증권회사, Head of Distribution 주식영업부
INFORMATION
Jane Kim 본부장은 J.P.Morgan에서 26년 이상 근무 중이며, 현재 J.P.Morgan 증권회사 서울지점 주식영업부 본부장을 역임 중이다.

고려대학교 EU 장 모네 석좌교수 이재승 이사

  • 現 고려대학교 노르딕-베네룩스센터 센터장
  • 現 고려대학교 장 모네EU센터 센터장
  • 現 서울국제포럼 정회원
  • 現 한국유럽학회 학회장
  • 前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정책자문위원
  • 前 대통령실(외교안보수석실) 정책자문위원
  • 前 외교통상부 자체평가위원
  • 前 아시아태평양 안보협력이사회(CSCAP) 한국위원회 사무국장
  • 前 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INFORMATION
이재승 교수는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Yale University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1년부터 한국외교안보연구원 교수로 역임하고, 현재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7년 5월부터 고려대학교 노르딕-베네룩스센터 센터장을 역임 중이다. 한국, 동아시아, 유럽의 국제관계 특히, 지역협력, 에너지안보, 유럽문제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 아시아태평양 안보협력이사회(CSCAP) 한국위원회 사무국장, 대통령실(외교안보수석실) 정책자문위원,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정책자문위원, 외교통상부 자체평가위원 등으로 활동했고, 현재 서울국제포럼 정회원, 한국유럽학회 학회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이러한 공로를 바탕으로 전직 국가 정상들의 모임인 ‘인터액션 카운슬(InterAction Council)’에서 차세대 지도자로 선정, 2018년 EU 연구에 뛰어난 업적을 보인 학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는 EU 장 모네 석좌교수(EU Jean Monnet Chair Professor)로 선정됐다.

법무법인 시헌 대표변호사 주성훈 이사

  • 現 (사)한국사내변호사회 감사
  • 現 ㈜세미티에스 감사
  • 現 한국금융연수원/금융투자협회 외부강사(회사법, 자본시장법, M&A)
  • 前 법무법인 지평지성 소속변호사
  • 前 법무법인 KCL 소속변호사
  • 前 우리투자증권 IB본부 M&A팀
  • 前 교보5호SPAC 대표이사
  • 前 (사)한국변호사회 초대 사무총장
  • 前 법제처 국민법제관(기업법 담당)
  • 前 법무부 ‘중소기업법률지원단’ 자문변호사
INFORMATION
주성훈 변호사는 2005년 법무법인 KCL 소속변호사를 시작으로 우리투자증권 IB본부 M&A팀, NH농협증권 IB본부 IB지원팀 및 법무법인 지평지성, VKP법률사무소 등 대표변호사를 거쳐 현재 법무법인 시헌의 대표변호사로 재직 중이다. 이외에도 법제처 국민법제관, 법무부 ‘중소기업법률지원단’ 자문변호사,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을 위한 금융위원회 TFT 활동 등을 했으며, 서울지방변호사회 사내변호사특별위원회 위원, 사단법인 한국변호사회 초대 사무총장을 역임하고 교보5호기업인수목적회사㈜ 대표이사, 사단법인 한국사내변호사회와 주식회사 세미티에스에서 감사 및 한국금융연수원, 금융투자협회 외 다수 외부 강의를 진행했다. 또한 하이닉스반도체 매각자문,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자문, SK텔레콤의 ㈜필리오 인수자문 등 다수의 M&A와 기업자문에 대한 경험으로 <실무자를 위한 상법전>을 편찬했다.

한국국정관리학회장 최현선 이사

  • 現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前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 前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 전문위원
  • 前 행정안전부 정부혁신평가단
  • 前 기획재정부 준정부기관 경영평가단 단장
  • 前 노스플로리다 대학교 조교수·부교수
INFORMATION
최현선 교수는 연세대학교 행정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University of North Florida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영역은 도시 및 정책학 분야, 성과 평가, 문화와 공동체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회장 및 한국행정학회, 한국정책학회에서 활동 중이다.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국무조정실의 정부업무평가 전문위원, 행정안전부 정부혁신 평가단, 기획재정부 준정부기관 경영평가단장 등을 역임했다. 다수의 경험을 바탕으로 <행정기획론: 대전환 시대의 공공부문>, <성공하는 정부를 위한 제언>, <행정기획론: 공공부문의 전략기획과 성과관리> 등을 편찬했다.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원왕연 이사

  • 現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이사
  • 現 한국공업화학회 이사
  • 現 한국화학공학회 편집위원
  • 前 GS건설 매니저
  • 前 조지아 공과대학교 방문연구원
INFORMATION
원왕연 교수는 화학공학 박사 학위 취득 후 2020년부터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공정 설계, 제어 및 최적화와 기술경제성 평가, 환경 영향 및 지속 가능성 평가(LCA), 재생 가능한 연료 및 화학 물질 및 CCU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 중이다. 대외적으로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 위원, 수소경제 정책 자문 전문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이사, 한국공업화학회 이사, 한국화학공학회 편집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수소산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뿐만 아니라 기술사업화 및 정책 자문을 통해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1회 수소의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고려대학교 배터리-스마트팩토리학과장 이준호 이사

  • 現 고려대학교 스마트도시학과 교수
  • 現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 現 고부가금속전문인력양성사업 수도권거점센터 센터장
  • 前 고려대학교 첨단소재부품개발연구소 소장
  • 前 오사카 대학교 조교수
  • 前 카네기 멜론 대학교 방문교수
INFORMATION
이준호 교수는 연세대학교 금속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 취득 후 University of Tokyo에서 금속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5년부터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21년부터 고려대학교 스마트도시학과 교수 및 배터리-스마트팩토리학과 학과장을 역임 중이다. 친환경 소재 개발 및 공정 연구 특히 폐기물 리싸이클링, 환경친화적인 고강도 철강소재의 개발 및 품질향상, 온난화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차세대 수소환원 제철 공정기술 개발, 슬래그 및 더스트를 중점적으로 연구 중이다. 뿐만 아니라 공학, 인문학, 신학의 학문간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공로를 바탕으로 제20회 철의 날 대통령 표창, Calphad 저널 최우수논문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신기술부문 2021년 이달의 산업기술상 등 다수 수상했다.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김상현 이사

  • 現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
  • 現 대한환경공학회 부편집위원장
  • 前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 前 아이오와주립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INFORMATION
김상현 교수는 카이스트 화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카이스트 토목공학과 석사 학위 및 건설및환경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8년부터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폐수 및 고체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부터의 바이오수소 생산, 산업폐수처리에서 에너지 절약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 중이며, 미활용 바이오폐기물로 신재생에너지를 만드는 기술을 상용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대한환경공학회 부편집위원장으로 역임 중이며, 2018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공로를 바탕으로 한국산학연합회장 표창을 수상했다.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이광호 이사

  • 現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
  • 現 국제표준기구(ISO) TC 163 분과위원회 Working Group 17 의장(Convener)
  • INFORMATION
    이광호 교수는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박사 학위 취득 후 현재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건축환경 및 기계설비 특히 건축물의 창호 열성능 관련 건물에너지 효율 향상 연구 등을 통해 국내외 많은 실적을 쌓았고 2019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IST) 회원으로 선출됐다. 대외적으로 ISO (국제표준기구) TC 163 WG 22 의장으로 활동하며 국제표준화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며 국제적으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이러한 공로를 바탕으로 대한설비공학회 인재 신진교수상, 산업통장자원부 장관 표창, 대한건축학회 논문상 등 수상했다.

    수원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 이정기 이사

    등기이사

    • 現 고려대학교 ESG연구센터 연구원
    • 前 DGB금융그룹(DGB대구은행) DGB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
    INFORMATION
    이정기 교수는 현재 및 수원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ESG경영정책전공에서 지속가능성 지표와 ESG의사결정방법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DGB금융그룹(DGB대구은행) DGB경제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당시 그룹 전사적 차원의 ESG 경영 실무를 담당했다. 2021년 12월 발표된 K-ESG 가이드라인 개발에 참여했고(책임자: 이재혁 IESGA 회장), 고려대학교 ESG 연구센터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경영전략 및 국제경영, ESG 정보공개, ESG 평가 등을 연구하고 있다.

    국제ESG협회 조유라 이사

    • 現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박사 수료 연구원
    • 前 독일 부퍼탈 대학교(Wuppertal University) 방문연구원
    INFORMATION
    조유라 박사는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학사와 중어중문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에서 박사를 수료했다. 2018년 독일 부퍼탈 대학교 (Wuppertal University)에서 방문연구원으로 토양 중금속 오염 정화 연구를 수행했으며, 환경 과학의 다방면 연구에 중국, 영국,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의 연구진과 국제 협업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2021년부터 토양 잔류 폐플라스틱의 분해도 및 장기 토양특성 변화 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순환 경제와 지속가능한 관리, 플라스틱 오염 토양의 토양질 평가, 생분해 플라스틱의 환경 분해도 평가, 폐기물의 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sment) 등 ESG 경영 E-pillar의 주요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류창국 이사

    • 現 성균관대학교 스마트발전공학과장
    • 現 Energies 저널 편집위원
    • 現 한국폐기물학회 편집위원
    • 現 한국열환경공학회 부회장
    • 現 한국연소학회 부회장
    • 前 한국화학공학회 에너지환경부문위원
    • 前 한국폐기물에너지화기술협의회 기술이사
    • 前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편집위원
    • 前 국립환경과학원 겸임연구관
    • 前 셰필드대학교 연구원
    INFORMATION
    류창국 교수는 카이스트 기계공학 학사,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영국 셰필드대학교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이후 2008년부터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스마트발전공학과장을 역임 중이다. 수소와 암모니아 등 저탄소 에너지기술,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에너지, 에너지 플랜트 공정 설계, 전산유체역학, 화석 연료의 새로운 이용기술 관련 연구를 수행 중이다. 대외적으로 한국화학공학회 에너지환경부문위원, 한국폐기물에너지화기술협의회 기술이사,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편집위원 등으로 활동했고, 현재 Energies 저널 편집위원이며, 한국폐기물학회 편집위원, 한국열환경공학회 부회장, 한국연소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 중이다. 이러한 공로를 바탕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전력기술 R&D), 한국연소학회 최우수연구상,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상 등을 수상했다.